오늘 이 시간에는 임대사업자 등록 장단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주택임대사업자는 주택을 매입해 임대사업을 하면 각종 세금 혜택을 주는 정부에서 주택거래를 활성시키고자 만든 정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시 각종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좋은 점이 많아 보이지만, 많은 좋은 점 뒤에 단점도 있으니 임대사업자 등록의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사업을 한다라는 사실을 국가에 알리고 세금혜택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소유한 주택은 있어야 하고, 본격적으로 장점,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취득세 감면이 있습니다. 최초 분약 주택이나 오피스텔 구입 후 60일 이내 사업자 등록시 취득세가 감면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임대 주택을 보유하고 있을 시에는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임대주택 면적에 따라 재산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 등록 시간에 따라 퍼센트별로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임대주택 처분시에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건강보험료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양도 소득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거주 기간에 따라 여부가 정해집니다.반대로 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점은 의료보혐료가 10~20만원 부과된다는 점입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면 의료보험, 연금 등이 부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금 혜택 조건이 까다로우며, 등록한 주택 면적, 가격 요건이 맞아야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불편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세금 혜택만을 바라는 분들은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앞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 여러분들도 자세히 살펴보신 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여부를 정하시길 바라며 지금까지 임대사업자 등록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