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이 계약을 할때 독단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공인중개사무소를 통해 부동산을 거래할 때가 안전하다는 것 다들 알고 계시죠? 이번 시간에는 부동산중개수수료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때 우리가 지불해야 할 것이 부동산중개수수료인데요. 주택, 상가 여부에 따라 다르고, 매매, 임대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부동산중개수수료 계산방법에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거래종류와 거래금액에 따라서 요율이 다르며, 주택의 중개수수료는 0.3퍼센트에서 0.9까지 다 다릅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매매 6억원 이상 9억원 미만시에는 0.5퍼센트의 중개보수 상한요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처럼 거래종류와 거래 금액, 상한요율을 곱해야 중개수수료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한 요율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상한 요율입니다.
만약 0.5퍼센트가 상한 요율이라 하면 쌍방에서 0.4퍼센트라 정하면 상한요율은 0.4퍼센트가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정해진 요율로 계산하게 됩니다.
주거용 오피스텔 중개보수로는 매매, 교환 시 중개보수 상한요율은 0,5퍼센트이며, 임대차의 경우 0.4퍼센트로 정해져 있습니다.
직접 계산하기 불편하신 분들은 요새 시대가 많이 좋아졌으므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라 검색하시면 매물종류, 거래지역, 거래종류, 거래금액, 협의보수율에 따라 계산하면 계산값이 나옵니다.
제가 방금 말씀 드린 중개보수 요율표 또한 한 눈에 확인하실 수 있으니,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부동산중개수수료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부동산 중개수수료 잘 알고, 정확하게 지불하는 사람이 되도록 합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