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토지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

by 코코아리스트 2020. 8. 28.

 

오늘 이 시간에는 토지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토지양도소득세란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이 있으실텐데요. 토지양도소득세와 비과세의 요건에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소득세는 개인의 건물이나 토지, 부동산 등 상품 양도나 분양권이 같은 부동산 권리를 양도하면서 발생하는 이익을 과세대상으로 부과하는 돈을 말합니다.

 

 

비과세는 말그대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것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과세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제일 이해하기 쉽습니다.

 

비과세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라 세금을 신고, 신청, 납부하실 필요 없으며, 감면의 경우에는 감면요건을 알아본 뒤 신고 후 감면신청을 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용어를 잘 알아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과세 대표적인 경우로는 1가구 무주택자가 받은 주택이거나, 1세대 1주택자가 받은 비과세 등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거주기간, 보유기간을 충족해야 요건에 해당하며, 거주기간 요건은 반드시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일 시 보유기간 중 2년 이상 거주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가구 1주택이지만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경우에는 고가주택의 경우 양도소득세를 또 내야합니다. 고가주택의 경우는 실지거래가액이 9억원을 초과할때 해당합니다.

 

 

이렇게 토지, 건물 같은 부동산을 팔때 양도소득세를 체크하셔야 나중에 세금 때문에 고생하시는 일이 없으며, 비과세 적용이 가능한지 앞서 설명해드린 부분들을 살펴봐야합니다.

 

 

지금까지 토지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만약 해당하신 분들이 있다면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시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