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 시간에는 1가구 2주택 보유세 계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유세란 무엇인지부터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유세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분들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로 나뉘어져 있으며, 더 향상된 종합부동산세로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도 많다고 합니다.
상가, 토지, 주택과 더불어 상업용주택들에 해당하는 것들이 종합부동산세 부과가 됩니다. 주택 공시가격을 통해 측정이 되고, 공시가격은 매년 4월말에 발표되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종부세 과세 대상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택 공시가격에서 과표(대상)에 따라 금액만큼 뺀 뒤 나머지 금액에서 90퍼센트를 곱해서 세율을 곱하면 됩니다.
세율은 0,5%~3.2%로서, 아까 90퍼센트를 곱한다고 말씀드렸는데 2022년에는 100퍼센트로 적용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과표는 실제 매매가가 아니라, 공시가격에서 금액만큼 뺀 남은 금액으로 계사ㅓㄴ을 한 것이기 때문에 세율이 조금 추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주택 같은 경우 150퍼센트, 2주택 경우 200퍼센트, 3주택이상이나 다 주택자분들은 300퍼센트로 세부담 상한 상향 조정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과한 세금이라 생각되어 따로 방법을 찾는 분들이 있는데, 종부세 합산 배제라는 시스템이 있으며 이는 부과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정부에서 빼주는 것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1가구2주택 보유세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1가구2주택 보유세 계산하는 법은 다소 복잡하긴 하지만 차근차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